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7 |
8 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
15 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
22 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29 | 30 | 31 |
- 인코딩
- MySQL
- permgen space
- HTML
- encoding
- 이클립스
- Memory
- UIWebView
- jsp
- spring
- Eclipse
- Database
- Tomcat
- 톰켓
- 한글
- JavaScript
- XML
- Android
- C#
- 티스토리 초대
- ios
- java
- iphone
- ipad
- 메모리
- Objective C
- udp
- WebView
- jQuery
- 티스토리 초대장
- Today
- Total
목록2013/12 (7)
suroMind
http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12526800/jquery-date-picker-doesnt-work-on-dynamic-form 동적으로 추가된 html 코드에 달력을 띄울 경우에는 jquery 달력이 작동하지 않는다.아래처럼 동적으로 추가한 후에 each로 jquery 달력이 동작하도록 설정한다. function addHtml(){.... html 동적 추가 코드 ... .... html 동적 추가 코드 ... $('.datepicker').each(function(){ $(this).datepicker(); });} .datepicker는 추가한 코드에 class를 이용함.
출처 : http://blog.daum.net/gujjy/114 tomcat 으로 mysql 접속시 인코딩이 깨어질 때 체크해야 할 것들. 1. 데이타베이스 및 테이블 생성 시 인코딩 적용 CREATE DATABASE 디비명 DEFAULT CHARACTER SET utf8 DEFAULT COLLATE utf8_general_ci; CREATE TABLE 테이블명( 컬럼들~~~~ )ENGINE=InnoDB DEFAULT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 COMMENT='테이블 주석'; 2. jdbc 데이터 소스 생성 시 인코딩 적용 jdbc:mysql://서버주소:포트/디비명?useUnicod=true&characterEncoding=utf8 &는 xml 에서는 ..
출처 : http://codingrecipes.com/jquery-ui-dialog-and-the-enter-return-key-problem 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lcoguss&logNo=199048137 jquery dialog로 창을 띄워놓고html의 input 에서 문자 입력 후에 enter를 누를 시 dialog가 닫혀버리는 현상이 있다. 아래처럼 keyCode가 13일때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으면 된다. $('.dialog').find('input').keypress(function(e) { if ((e.which && e.which == 13) || (e.keyCode && e.keyCode == 13)) { //$(this).parent..
톰켓이 스레드가 부족할 경우 아래와 같은 메세지를 출력하고 다운될 때가 있다. 심각: All threads (200) are currently busy, waiting. Increase maxThreads (200) or check the servlet status 기본적인 maxThreads가 200이므로 늘려주면된다. Tomcat폴더/conf/server.xml 파일에서 Connector 엘리먼트에서 변경 혹은 추가한다. 참고 : 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junix&logNo=80125225673
참조 : 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junix&logNo=80125225673 Tomcat 메모리 변경 bin/catalina.sh 파일에 아래 내용을 맨 위쪽에 추가한다. 리눅스 : JAVA_OPTS=$JAVA_OPTS -Xms512m -Xmx1024m -XX:PermSize=128m윈도우 : set JAVA_OPTS=%JAVA_OPTS% -Xms512m -Xmx1024m -XX:PermSize=128m 톰켓을 재시작한다.
참조 : http://devday.tistory.com/entry/%EC%9D%B4%ED%81%B4%EB%A6%BD%EC%8A%A4-Eclipse%EC%97%90%EC%84%9C-%ED%86%B0%EC%BA%A3-Tomcat-%EC%82%AC%EC%9A%A9-%EC%8B%9C-%ED%95%9C%EA%B8%80-GET-%ED%8C%8C%EB%9D%BC%EB%AF%B8%ED%84%B0%EA%B0%80-%EA%B9%A8%EC%A7%88-%EB%95%8C 톰켓 사용시 get 파라메터가 인코딩이 깨어질 때가 있다.server.xml에 Connector에 옵션을 주면 된다. 아파치 등과 같이 WEB서버와 연동시에는 AJP 커넥터에도 URIEncoding을 달아준다. web.xml에 인코딩필터를 달아준다. encod..
참조 : http://run2u.kr/tc/235 접속해야할 곳이 내부 네트워크라서 접속해서 작업해야 할때 애매할 때가 있다putty 터널링이란 기능을 이용해서 edit plus 및 디비툴을 이용해서 작업하면 된다. 먼저 접속할 수 있는 곳 하나는 알고 있어야 한다. ssh를 이용해서 설명한다. - xxx.xxx.xxx.101 : 22 (접속할수 있는곳) - xxx.xxx.xxx.102 : 22 (접속불가한 내부네트워크) 1. 접속할 정보를 넣는다. 2. Connection - SSH - Tunnels 탭으로 이동한다. 아래처럼 Source port 에는 임의의 포트를 쓴다. 사용하지 않는 포트.. Destination 에는 실제 내부네트워크 정보를 넣는다. 그리고 Add 를 눌러주면 추가가된다. 3. ..